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CSS 기초] 글꼴 관련 스타일 (1)

IT/HTML 및 CSS

by SINAFLA 2021. 4. 15. 17:16

본문

반응형

font-family 속성 - 글꼴 지정하기

  • 웹 문서에 사용할 글꼴을 font-family 속성으로 지정한다. 텍스트를 사용하는 요소들에서 주로 사용한다.
font-family: <글꼴이름>[, <글꼴 이름>, <글꼴이름>]
body {
	font-family: "맑은 고딕", 돋움, 굴림 }
}
  • 글꼴이 없는 경우를 대비해서 두 번째나 세 번째 글꼴까지 지정해야 한다.

구글 웹 폰트 사용하기

  •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웹 폰트를 사용할 수 있다. 웹 폰트를 직접 다운로드 하지 않고 직접 링크를 이용해 사용할 수 있다.
  • https://fonts.google.com 사이트에 들어가서 원하는 글꼴을 사용할 수 있다.

 

  • 원하는 글꼴을 선택해서 숫자 1~3 번까지 클릭을 한다. <style>와 </style> 태그 사이에 넣을 import 부분을 복사한다.
@import url('https://fonts.googleapis.com/css2?family=Oswald:wght@200&display=swap');

<html>
<head>
	<meta charset="utf-8">
	<style>
		@import url('https://fonts.googleapis.com/css2?family=Oswald:wght@200&display=swap');
		p {
			font-family: "Oswald script=latin rev=2"; font-weight: 200; font-style: normal; line-height: 1.482;
		}
	</style>
</head>
<body>
	<p>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</p>
</body>
</html>

 

 

 

font-size 속성 - 글자 크기 조절하기

  • font-size는 글자 크기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속성이다. 픽셀이나 포인트를 비롯해 크기를 여러 단위로 지정할 수있다.
font-size: <절대 크기> | <상대 크기> | <크기> | <백분율>
  • <절대 크기> : 브라우저에서 지정한 글자 크기(xx-small | x-small | small | medium | large | x-large | xx-large)
  • <상대 크기> : 부모 요소의 글자 크기를 기준으로 더 크게 표시하거나 더 작게 표시한다. (larger | smaller)
  • <크기> : 브라우저와 상관없이 글자 크기를 직접 지정
  • <백분율> : 부모 요소의 글자 크기를 기준으로 해당하는 %로 계산해 표시

 

font-size 글자 크기 단위

  • em : 해당 글꼴의 대문자 M의 너비를 기준으로 크기를 조절한다.
  • ex : x-height. 해당 글꼴의 소문자 x의 높이를 기준으로 크기를 조절한다.
  • px : 픽셀. 모니터에 따라 상대적 크기가 된다.
  • pt: 포인트. 일반 문서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위다.

  • px 단위로 글자 크기를 지정을 많이 한다. 주로 px 단위로 사용을 하면 폰트 크기가 고정되기 때문에 창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로 볼 때도 같은 크기로 화면에 표시된다. 작은 화면 안에 작은 글씨로 표시가 되기 때문에 px 단위보다는 em 단위로 사용하는 게 좋다.
  • 1em의 기본 값은 16px다.
<html>
<head>
	<meta charset="utf-8">
	<style>
		p {
			font-size: 1em;
		}
	</style>
</head>
<body>
	<p>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보전 하세</p>
</body>
</html>
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